검색결과 리스트
글
printf에서 변수 출력할 때 사용
서식 문자 |
출력 형태 |
%c |
단일 문자 |
%s |
문자열 |
%d |
부호 있는 10진 정수 |
%f |
부호 있는 10진 실수 |
%x |
부호 없는 16진 정수, 소문자 사용 |
%X |
부호 없는 16진 정수, 대문자 사용 |
%o |
부호 없는 8진 정수 |
%u |
부호 없는 10진 정수 |
%e |
e 표기법에 의한 실수 |
%E |
E 표기법에 의한 실수 |
%% |
% 기호 출력 |
1. 문자열 상수는 수정불가능한 char형 배열이다.
2. 배열은 그 자신의 첫번째 원소를 가리키는 포인터 주소값으로 자동 변환된다.
3. 2번에는 3가지 예외가 있는데, & 연산자의 피연산자, size of 연산자의 피연산자, 그리고 char형 배열을 초기화할 때 쓰였을 경우이다.
4. array[2] 는 *(array + 2) 와 완전히 동일한 표현이다.
char* str;
str = "abcd"; // str은 "abcd"의 첫번째 원소를 가리키는 주소값을 저장한다.
str[1] = 'c' // error "abcd"는 상수이므로 값을 바꿀수 없다.
char str[] = "abcd"
str[1] = 'b'; // 배열에 문자열 상수를 초기화하는 경우 새로운 배열이 만들어 지기 때문에 상수가 아니다. 따라서 대입가능
출처 : https://kldp.org/node/61290
RECENT COMMENT